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동대문 디자인 플라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동대문 디자인 플라자(DDP)는 서울 동대문구에 위치한 복합 문화 공간이다. 1925년 건설된 동대문운동장 부지에 건립되었으며, 2014년 3월 22일 개관했다. DDP는 건축가 자하 하디드의 유선형 비정형 디자인으로 설계되었으며, 알림터, 배움터, 살림터, 디자인장터, 어울림광장, 동대문역사문화공원 등 다양한 시설을 갖추고 있다. 주요 시설로는 전시관, 컨벤션홀, 박물관, 디자인 연구소 등이 있으며, 문화 행사, 전시, 패션쇼, 공연 등 다양한 프로그램이 진행된다. 개관 후 지역 상권 활성화에 기여했다는 긍정적 평가와 함께, 디자인, 예산, 주변 상권과의 조화에 대한 비판도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자하 하디드의 건축물 - 엘리 앤드 에디스 브로드 미술관
    미시간 주 이스트 랜싱에 위치한 엘리 앤드 에디스 브로드 미술관은 자하 하디드가 설계한 독특한 외관을 가진 미시간 주립 대학교 소속 현대 미술관으로, 지역 사회와의 소통을 중시하며 친환경적으로 운영된다.
  • 자하 하디드의 건축물 - 왕징 SOHO
    이라크 출신 건축가 자하 하디드가 설계한 왕징 SOHO는 이중 곡률 패널 디자인과 곡선형 외관, 긍정적 의미를 담은 건축 철학으로 주목받았으며, 디자인 표절 논란과 엠포리스 초고층 빌딩상 수상 이력을 가진 베이징의 건축물이다.
  • 오세훈 - 서울시의 무상 급식 정책 논란
    서울시의 무상 급식 정책 논란은 2010년 지방 선거를 기점으로 오세훈 시장과 시의회의 갈등 속에 전면 무상 급식을 둘러싼 재정 부담, 복지 우선순위, 사회적 형평성 등의 쟁점이 부각되며 사회적 이슈가 되었고, 2011년 오세훈 시장의 사퇴와 정치 지형 변화에 영향을 미쳤다.
  • 오세훈 - 세빛섬
    세빛섬은 한강에 조성된 인공 섬으로, 가빛섬, 채빛섬, 솔빛섬, 예빛섬으로 구성되어 공연, 문화 체험 등 다양한 문화 시설을 갖추고 수익형 민자사업으로 운영되나, 건설 및 운영 방식, 공공성 훼손 등 다양한 논란이 있었다.
  • 해체주의 건축 - 베를린 유대인 박물관
    베를린 유대인 박물관은 다니엘 리베스킨트가 설계한 지그재그 형태의 건물로, 독일 유대인의 역사와 문화를 보여주는 상설 전시와 기획 전시를 개최하며, 홀로코스트 희생자를 기리는 공간을 갖추고 있다.
  • 해체주의 건축 - EMP 박물관
    EMP 박물관(MoPOP)은 프랭크 게리가 설계한 시애틀 센터의 팝 문화 박물관으로, 팝 문화 전시, 체험 활동, 지미 헨드릭스와 너바나 컬렉션, 과학소설 및 판타지 명예의 전당 운영, 교육 프로그램 등을 통해 대중문화 이해를 증진시킨다.
동대문 디자인 플라자 - [지명]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동대문 디자인 플라자 야경
동대문 디자인 플라자 야경
위치동대문, 서울특별시 대한민국
좌표37.5669, 127.0094
착공2009년 4월
개장2014년 3월 21일
건축가자하 하디드
건설 비용4억 5100만 달러
연면적86574.7 m2
수상SEGD 공로상, 2015년
주차장이용 가능
건축 세부 정보
건축 기간알 수 없음
용도알 수 없음
건설사삼우종합건축사사무소
엔지니어알 수 없음
계약자알 수 없음
개발사알 수 없음
소유주알 수 없음
구조물 높이알 수 없음
층수알 수 없음
대지 면적62108.7 m2
건축 면적25104.08 m2
총 면적86574.7 m2
용적률45.879933 %
건폐율40.419586 %
건축 비용4,840억 원

2. 역사

2007년 12월 19일동대문운동장이 철거되었고,[9] 2009년 4월 29일 삼성물산 건설부문이 착공하여[10] 2014년 3월 22일 개관하였다.[11] 개관 이후 2015년 2월까지 1년 동안 824만 명이 DDP를 방문하여,[20] 개관 전 유치 목표 550만 명을 넘었다. 2016년 3월 보도에 따르면 2015년 한 해 동안 하루 2만 명, 연간 700만 명을 동원하여 자체 목표를 달성했다.[12] 재정 측면에서는 213억 원 지출에 223억 원 수입으로 개관 첫해 균형수지를 기록했다.[16]

북쪽에서 본 DDP 주변 지역

2. 1. 동대문운동장과 주변 지역의 역사

동대문운동장 항공 사진


동대문운동장은 한국 최초의 근대식 경기장으로, 일제강점기에 일본 왕세자의 결혼을 기념하기 위해 건설되었다. 1925년부터 2007년 철거될 때까지[5] 다양한 국가적 스포츠 행사와 기념 행사가 이곳에서 열렸다.

경성 운동장은 1925년에 건설되었으며, 인접한 벽과 건물들의 대대적인 철거를 거쳐 동대문운동장으로 개칭되었다. 한국 독립 이후, 최초의 현대식 경기장은 서울운동장으로 개칭되었고, 국가적인 행사의 주요 장소가 되었다. 이후 다시 동대문운동장으로 이름이 변경되었다.

동대문구에 위치한 고대 성벽은 한때 조선의 수도인 서울의 방어벽 역할을 했다. 그러나 전쟁의 상처와 도시 확장은 물리적 온전성에 큰 영향을 미쳤다. 1889년에는 서울의 서대문구청량리동을 연결하는 노면 전차 철도를 건설하기 위해 처음으로 훼손되었다. 1908년에는 일본 왕세자의 방문을 위해 동대문과 광화문 사이의 구간이 철거되었고, 이는 1924년 히로히토 천황의 통치 하에 왕세자의 결혼을 기념하기 위해 건설된 경성운동장의 건설을 용이하게 했다. 불법적인 주거 개발과 한국 전쟁 이후의 무허가 건설은 성벽의 남은 구조를 지속적으로 훼손시켰다.

1988년 서울 올림픽을 준비하면서 잠실 종합운동장이 건설된 이후 동대문운동장의 활용도가 감소했다. 이후 동대문 운동장은 방치되었고, 대한민국 최대 패션 중심지 앞에 위치한 지역 시장이 되었다. 경기장 철거는 "억압적 재배치"로 간주되는 노점상 철거에 반대하는 등 비판을 받기도 했다.[5]

동대문 상업 지구는 조선 시대 후반 배오개 주변에 사람들이 자율적인 시장을 형성하면서 발전하기 시작했다. 또 다른 대규모 현대 시장인 광장시장이 형성되었고, 이 지역은 다양한 시장과 소규모 상업 시설의 집합체가 되었다. 1960년대에는 동대문구 평화시장 인근에 많은 수의 봉제 공장이 건설되었고, 이 시장은 곧 쇼핑을 위한 최대 쇼핑 지역이 되었다. 1998년 패션을 위한 쇼핑몰인 밀리오레가 추가되면서 소매 지역으로 발전했다.[6]

2. 2. DDP 건립 추진 과정

2007년 12월 19일동대문운동장이 철거되었고,[9] 2009년 4월 29일 착공하여[10] 2014년 3월 22일 개관하였다.[11]

동대문운동장은 한국 최초의 근대식 경기장이었다. 일제강점기에 일본 왕세자의 결혼을 기념하기 위해 건설되었으며, 1925년부터 2007년 철거될 때까지 다양한 국가적 스포츠 행사와 기념 행사가 이곳에서 열렸다. 1988년 서울 올림픽 이후 방치되었고, 대한민국 최대 패션 중심지 앞에 위치한 지역 시장이 되었다. 경기장 철거는 "억압적 재배치"로 간주되는 노점상 철거에 반대하는 등 비판을 받기도 했다.[5]

동대문 역사문화공원은 DDP 동쪽에 있으며, 낙산에서 남산까지 이어지는 둥근 형태의 도심 녹지 회랑을 연결하며, 서울의 역사적, 문화적 자산을 전시하는 문화 공간으로 기능한다. 원래 자하 하디드는 이 지역을 최신 디자인 트렌드를 소개하는 디자인 거리로 설계했지만, 2007년 12월부터 시작된 동대문 운동장 발굴 및 철거 과정에서 다양한 역사 유물이 발견되었다. 서울시는 이 지역의 안전하고 상세한 조사를 위해 발굴 및 조사팀을 구성했다. 2009년 6월, 서울시는 발굴된 유물을 보존하고 전시하기로 결정하고, 역사 유물 전시 공간으로 활용될 동대문 역사문화공원 건설을 발표했다. 공원 면적은 65232m2이며, 서울 성곽, 이간수문, 두 개의 야외 전시 공간, 이간수문 전시관, 동대문역사관 1396, 동대문운동장 기념관, 갤러리 문이 공원 구역의 주요 특징과 시설이다.

지역 패션 허브 지구와 주거 지역은 이전에 장충단로로 분리되었던 공원을 중심으로 공유한다. 또한, 지하 보행 네트워크 건설 이후 보행 환경이 개선됨에 따라, 이 공원과 건물은 서울 도심의 여러 부분을 연결하는 새로운 문화 공간으로 기능한다.

3. 건축 디자인 및 특징

DDP는 유선형의 비정형적 형태를 띠고 있으며, 설계를 맡은 자하 하디드는 "서울 성곽을 둘러싸는 건축적 풍경을 표현하고 싶었다."라고 밝혔다.[13] 외관에는 은색 알루미늄 외장 패널 45,133장이 사용되었다.[14]

DDP는 크게 5개의 시설과 15개 공간으로 구성되어 있다.[15]

시설공간
알림터알림 1관, 알림 2관, 국제회의장
배움터디자인박물관, 디자인전시관, 디자인둘레길, 박물관 카페
살림터살림 1관, 살림 2관, 잔디사랑방, 디자인나눔관
디자인장터문화콘텐츠, 체험, 숍인숍이 결합된 복합편집형 매장
어울림광장방문객 편의 제공 및 주변 상권 활성화를 목적으로 함.
동대문역사문화공원디자인갤러리, 운동장기념관, 동대문역사관 등



동대문운동장을 공원으로 대체하는 건설 프로젝트는 2000년부터 논의되었으며, 서울시는 2005년에 동대문운동장의 기능을 대체하기 위한 기본 계획을 수립했다. 2007년 서울시는 건축가들을 초청하여 디자인 공모전을 개최했고, 자하 하디드의 '환유적 풍경'이 당선되었다.[3]

3. 1. 디자인 콘셉트: 환유적 풍경

자하 하디드는 동대문 디자인 플라자(DDP)를 설계하면서 '환유적 풍경'이라는 개념을 사용했다. ''환유''는 어떤 대상을 간접적으로 묘사하는 것을 말하는데, 하디드는 이 방식을 통해 서울의 역사적, 문화, 도시, 사회, 경제적 측면을 통합하여 풍경의 장면을 만들었다.[2] DDP는 대한민국 최대의 패션 지구인 서울의 역사 지구에 위치한 문화 허브로 설계되었으며, 액체가 흐르는 듯한 물결치는 표면으로 공간의 유연성을 확보했다.

하디드는 디자인의 기본 특징으로 "투명성, 다공성, 내구성"을 강조했다.[2] DDP는 외관상 유선형의 비정형적 형태를 띠고 있는데, 하디드는 "서울 성곽을 둘러싸는 건축적 풍경을 표현하고 싶었다."라고 디자인 이유를 밝혔다.[13] 은색 알루미늄 외장 패널 45,133장이 바깥에 붙여졌다.[14]

최첨단 건축 정보 모델링(BIM), 초대형 트러스 시스템, 입체 트러스 시스템은 대규모 공간을 만드는 데 중요한 특징이다. 건물에는 이중 외피 파사드, 태양광 패널, 물 재활용 시스템을 비롯한 많은 생태학적 특징이 포함되어 있다.[2]

DDP의 외부 외피는 지상 위를 떠다니는 매끄럽고 거대한 버섯 모양의 구조로, 콘크리트, 알루미늄, 강철, 암석으로 만들어졌다. 건물의 내부는 합성 섬유로 보강된 석고, 흡음 천장재, 아크릴 수지, 스테인리스강, 광택 처리된 돌로 마감되었다.

3. 2. 건축 구조 및 기술

DDP는 2004년 프리츠커상 수상자인 영국계 이라크 건축가 자하 하디드가 "환유적 풍경"이라는 개념으로 설계했다. ''환유''는 특정 대상을 간접적으로 묘사하는 방식을 의미하며, 하디드는 이 방식을 통해 도출된 서울의 역사적, 문화, 도시, 사회, 경제적 측면을 통합하여 풍경의 장면을 창출했다. 대한민국 최대의 패션 지구인 서울의 역사 지구에 위치한 문화 허브로 설계된 DDP는 액체의 흐름을 연상시키는 물결치는 표면으로 구성되어 공간의 유연성을 확보했다. 최첨단 건축 정보 모델링(BIM), 초대형 트러스 시스템, 입체 트러스 시스템은 대규모 공간을 만드는 데 중요한 특징이다. 자하 하디드에 따르면, 그녀의 디자인의 기본 특징은 "투명성, 다공성, 내구성"이었다.[2] 이 건물에는 이중 외피 파사드, 태양광 패널, 물 재활용 시스템을 비롯한 많은 생태학적 특징이 포함되어 있다.[2]

DDP의 외부 외피는 지상 위를 떠다니는 매끄럽고 거대한 버섯 모양의 구조로, 콘크리트, 알루미늄, 강철, 암석으로 만들어졌다. 건물의 내부는 합성 섬유로 보강된 석고, 흡음 천장재, 아크릴 수지, 스테인리스강, 광택 처리된 돌로 마감되었다.

3. 3. 내·외부 마감재

DDP의 외피는 매끄럽고 거대한 버섯 모양의 구조로, 콘크리트, 알루미늄, 강철, 암석으로 만들어졌다. 내부는 합성 섬유로 보강된 석고, 흡음 천장재, 아크릴 수지, 스테인리스강, 광택 처리된 돌로 마감되었다.[3] 외관은 자하 하디드가 디자인했으며, 은색 알루미늄 외장 패널 45,133장이 사용되었다.[14]

4. 주요 시설 및 프로그램

동대문 디자인 플라자 & 공원 내 디자인 연구소 및 기아 쏘울 전시회


동대문 디자인 플라자(DDP)는 알림터, 배움터, 살림터, 디자인장터, 어울림광장, 동대문역사문화공원 등 크게 5개의 시설과 15개 공간으로 구성되어 있다.[15]

DDP는 지하 3층, 지상 4층, 길이 280m 규모의 건물로, 전시관, 컨벤션홀, 디자인 박물관, 디자인 연구소, 아카데미홀, 미디어 센터, 세미나실, 디자이너 라운지, 디자인 마켓 등 다양한 공공 공간을 갖추고 있다.

디자인 연구소는 국내외 신진 제품 디자이너를 위한 인큐베이터 역할을 하며, 디자인 마켓은 문화 행사와 쇼핑을 위한 다목적 공간으로 24시간 운영된다.[4] DDP는 주차 공간, 매점, 수유실, 물품 보관소, 카페 및 서울특별시 서울디자인재단에서 운영하고 관리하는 기타 시설도 갖추고 있다.

4. 1. 알림터

알림터는 알림 1관, 알림 2관, 국제회의장으로 구성되어 있다.[15] 알림터의 아트홀은 컨벤션, 무역 박람회, 전시회, 패션쇼, 콘서트 및 공연을 위한 공간이다.

4. 2. 배움터

배움터는 디자인박물관, 디자인전시관, 디자인둘레길, 박물관 카페로 구성되어 있다.[15] 박물관홀은 디자인 놀이터, 디자인 둘레길, 디자인 박물관, 디자인 전시관, 디자인 휴게 공간등 5개의 섹션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많은 예술가들이 디자인 산업에 참여하고 아이디어를 교환할 수 있도록 한다.[4]

4. 3. 살림터

살림터는 살림 1관, 살림 2관, 잔디사랑방, 디자인나눔관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15]

4. 4. 디자인장터

문화콘텐츠, 체험, 숍인숍(shop-in-shop)이 결합된 복합 편집형 매장이다.[15]

4. 5. 어울림광장

어울림광장은 방문객 편의 제공 및 주변 상권 활성화를 목적으로 조성되었다.[15]

4. 6. 동대문역사문화공원



동대문역사문화공원은 DDP 동쪽에 있으며, 낙산에서 남산까지 이어지는 둥근 형태의 도심 녹지 회랑을 연결하고 서울의 역사적, 문화적 자산을 전시하는 문화 공간으로 기능한다. 원래 자하 하디드는 이 지역을 최신 디자인 트렌드를 소개하는 디자인 거리로 설계했지만, 2007년 12월부터 시작된 동대문운동장 발굴 및 철거 과정에서 다양한 역사 유물이 발견되었다. 이에 서울시는 안전하고 상세한 조사를 위해 발굴 및 조사팀을 구성하였고, 2009년 6월 발굴된 유물을 보존하고 전시하기로 결정하면서 동대문역사문화공원을 역사 유물 전시 공간으로 활용하게 되었다.[5]

공원 면적은 65232m2이며, 서울 성곽, 이간수문, 야외 전시 공간(2개), 이간수문 전시관, 동대문역사관 1396, 동대문운동장 기념관, 갤러리 문 등이 공원의 주요 특징 및 시설이다.

이 공원과 건물은 지역 패션 허브 지구와 주거 지역(이전에는 장충단로로 분리되었던)을 연결하고, 지하 보행 네트워크 건설로 개선된 보행 환경을 통해 서울 도심의 여러 부분을 잇는 새로운 문화 공간으로 기능한다.

5. 평가 및 비판

DDP는 긍정적 평가와 부정적 평가를 모두 받았다. 뉴욕타임즈는 DDP를 '꼭 가봐야 할 세계 명소 52곳' 중 하나로 선정했고,[16] DDP가 2000년대 이후 침체되었던 동대문 일대 상권을 되살렸다는 평가도 있었다.[17] 그러나 디자인이 주변과 어울리지 않고, 막대한 운영비 때문에 서울특별시의 애물단지가 될 수 있다는 비판도 제기되었다.[20] 자하 하디드의 디자인이 동대문으로 대표되는 한국적 풍경과 어울리지 않으며, 디자인 때문에 예산이 당초 추정치의 두 배인 4800억으로 늘어났고, 주민 의견 수렴 과정도 부족했다는 비판이 있었다.[21] 동대문시장 상인들은 DDP가 지역 상권 활성화에 도움이 될지에 대해 부정적인 반응을 보였고,[21] DDP가 주변 지역과 조화를 이루지 못한다는 지적도 있었다.[19]

5. 1. 긍정적 평가

뉴욕타임즈는 2015년 1월 DDP를 '꼭 가봐야 할 세계 명소 52곳' 중 하나로 선정했다.[16] DDP는 2000년대 이후 침체되어 있던 동대문 일대의 상권을 되살렸다는 평가를 받았다.[17] DDP 담당자는 개관 1주년 언론보도에서 "5000억 원짜리 목적없는 공공건축이라는 비판을 받았으나 개관 후 주변 상권 매출이 15~25 퍼센트 증가했다."라고 밝혔다.[18] 개관 2년차 보도에서는 '동대문 지역을 대표하는 관광명소로 자리잡았다.'라고 평가받았으며, 지역 유동인구가 개관 전에 비해 10% 증가했고 주변에 숙박업소 및 식당이 크게 늘어났으며 건축지 인근의 낙후한 이미지를 고급화했다는 평가가 나왔다.[12]

5. 2. 비판 및 논란

개관 전 디자인이 주변과 어울리지 않으며 막대한 운영비로 서울특별시의 애물단지가 되는 것이 아니냐는 비판이 있었다.[20] 자하 하디드의 디자인이 인근 동대문으로 대표되는 한국적 풍경과 어울리지 않으며, 디자인을 유지하느라 예산이 당초 추정치의 두 배인 4800억으로 나왔고, 해당 사업에 대해 인근 주민의 의견수렴 과정을 제대로 거치지 않았다는 비판이 있었다. 개관 직전 언론사의 취재 결과 동대문시장 상인들은 DDP 조성이 지역상권 활성화로 이어지는 것에 대해 부정적인 반응을 보였다.[21] 동대문시장 등 주변 지역과 DDP가 조화를 이루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19]

동대문운동장은 한국 최초의 근대식 경기장으로, 일제강점기에 일본 왕세자의 결혼을 기념하기 위해 건설되었다. 1925년부터 2007년 철거될 때까지 다양한 국가적 스포츠 행사와 기념 행사가 이곳에서 열렸다. 경기장은 1988년 서울 올림픽 이후 방치되었고, 대한민국 최대 패션 중심지 앞에 위치한 지역 시장이 되었다. 경기장 철거는 "억압적 재배치"로 간주되는 노점상 철거에 반대하는 등 비판을 받기도 했다.[5]

6. 기타 용도

오버워치 리그 태평양 컨퍼런스 동부지구 소속팀인 서울 다이너스티가 2020 시즌부터 홈 구장으로 사용하고 있다.[22]

참조

[1] 웹사이트 Zaha Hadid Architects http://www.zaha-hadi[...]
[2] 웹사이트 Zaha Hadid Architects http://www.zaha-hadi[...]
[3] 웹사이트 Dongdaemun Design Plaza, Key Policies https://seoulsolutio[...] 2014-12-22
[4] 웹사이트 Visit Seoul, Official Web Page http://english.visit[...]
[5] 논문 Territorialized urban mega-projects beyond global convergence: The case of Dongdaemun Design Plaza & Park Project, Seoul https://www.scienced[...] 2014-10-01
[6] 웹사이트 Dongdaemun Design Plaza, Key Policies https://seoulsolutio[...] 2014-12-22
[7] 웹사이트 서울 부동산정보조회 시스템: 부동산정보 통합열람 http://kras.seoul.go[...] 2015-06-09
[8] 웹사이트 Dongdaemun Design Plaza https://www.samoo.co[...] 2020-07-27
[9] 뉴스 철거작업 시작… 관중석-전광판 타구장서 재활용 https://news.naver.c[...]
[10] 뉴스 동대문 디자인플라자 파크 '첫삽'‥내후년 말 완공 예정 https://news.naver.c[...]
[11] 뉴스 동대문디자인플라자 오늘 개관 https://news.naver.c[...]
[12] 뉴스 '두 돌' 동대문디자인플라자…서울의 핫 플레이스가 되다 https://www.yna.co.k[...] 연합뉴스 2016-03-16
[13] 뉴스 건축여제 자하 하디드 특별인터뷰 http://economyplus.c[...] 이코노미조선 2015-03-27
[14] 뉴스 장세영의 서울 숨은그림찾기: 디자인 둘레길 인기코스 '동대문디자인플라자(DDP)' http://www.etoday.co[...] 이투데이 2015-03-06
[15] 웹사이트 건축물 소개 http://www.ddp.or.kr[...] 2020-07-27
[16] 뉴스 DDP, 머쓱할 정도의 흥행 행진 https://news.naver.c[...] 한겨레 2015-03-17
[17] 뉴스 동대문의 부활: 화려했던 전성기와 쇠락의 역사 http://view.asiae.co[...] 아시아경제 2015-03-27
[18] 뉴스 DDP 개관 1년, 837만 명이 찾은 문화 허브 됐다 https://news.naver.c[...] 중앙일보 2015-03-18
[19] 뉴스 서울 DDP, 관광 명소 ‘우뚝’…“주변 상권과 상생해야” http://news.kbs.co.k[...] 2016-03-12
[20] 뉴스 동대문 디자인플라자, 애물단지에서 보물단지로 https://news.naver.c[...] 한국방송공사|KBS 2015-02-23
[21] 뉴스 동대문 상인들 "DDP 기대 없다"…UFO의 미래는? https://news.naver.c[...] 아시아경제 2014-03-13
[22] 뉴스 [오버워치 리그] 서울 다이너스티, 2020년 홈경기 DDP서 개최 http://osen.mt.co.kr[...] OSEN 2019-12-12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